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CSS버튼애니메이션 #버튼클릭하면
- 이미지유무체크
- PHP설치
- nginx루트경로변경
- nginx설치
- git remote: Permission to .. denied to error: 403 에러
- 자바스크립트객체배열로
- 바닐라자바스크립트 텍스트 바꾸기
- animation progressbar
- node-sass #sass #사스
- 체크박스
- CSS버튼효과
- 버튼클릭하면박스나타남 #버튼클릭시박스노출 #버튼클릭시아래버튼밀어내림
- vanillajs
- 애니메이션프로그레스바
- JSON.parse()
- 빗버킷ssh
- 클릭display:none #클릭하면버튼노출
- node-sass #dart-sass
- #push() 함수 #Object.keys()함수 #Object.values()함수 #Object.entries()함수
- 부트스트랩 프로그레스바
- PHP에서데이터로그
- 자바스크립트객체를문자열로
- 바닐라자바스크립트
- nginx와php연동
- JSON.stringify()
- Today
- Total
●▲■ 개발일기
터미널에서 한국시간대(KST)로 로그 남기는 명령어 본문
터미널에서 서울 표준시간을 적용하여 `index.php`를 실행하고, 로그를 남기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:
TZ='Asia/Seoul' /usr/bin/php /path/to/index.php >> /path/to/log/$(TZ='Asia/Seoul' date +%Y%m%d_%H%M).log 2>&1
### 명령어 설명
- `TZ='Asia/Seoul'`: 명령어를 실행할 때 서울 시간대를 설정합니다.
- `/usr/bin/php /path/to/index.php`: PHP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. 여기서 `/usr/bin/php`는 PHP 실행 파일의 경로이고, `/path/to/index.php`는 `index.php` 파일의 경로입니다. 실제 경로로 변경해야 합니다.
- `>> /path/to/log/$(TZ='Asia/Seoul' date +%Y%m%d_%H%M).log`: 현재 서울 시간을 기준으로 `YYYYMMDD_HHMM.log` 형식의 파일 이름을 생성하고, 그 파일에 로그를 추가(`>>`)합니다.
- `2>&1`: 표준 오류 출력을 표준 출력과 동일한 파일로 리디렉션합니다. 즉, 오류 메시지도 같은 로그 파일에 기록됩니다.
### 예시
예를 들어, `index.php` 파일의 경로가 `/var/www/myproject/index.php`이고, 로그를 `/var/www/myproject/log/` 디렉토리에 저장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:
```bash
TZ='Asia/Seoul' /usr/bin/php /var/www/myproject/index.php >> /var/www/myproject/log/$(TZ='Asia/Seoul' date +%Y%m%d_%H%M).log 2>&1
```
이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고 실행하면, 현재 서울 시간 기준으로 로그 파일이 `log` 디렉토리에 생성됩니다. 예를 들어, 2024년 8월 25일 오전 10시 30분에 실행하면 로그 파일은 `20240825_1030.log`라는 이름으로 생성됩니다.
** 참고로 UTC(국제표준시간)보다 한국시간(KST)는 9시간 빠릅니다. 그래서 UTC+9 요렇게 많이들 씁니다.
UTC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는 평균시가 있는데 바로 GMT(그리니치 천문대 평균시)입니다. 이 시간 체계를 바탕으로 19세기에 UTC가 만들어졌습니다.